검색엔진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웹 페이지, 사이트, 이미지 등 모든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구글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지만 아직까지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 네이버 외에도 세계적으로는 다양하고 많은 검색엔진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계 검색엔진 상위 순위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검색엔진이란?
검색엔진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웹 페이지, 사이트, 이미지 파일 등을 검색하는 시스템입니다. 검색창에 원하는 정보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가 검색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지금은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이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의 중요도와 위상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검색엔진은 역시 Google입니다. 전세계 시장 점유율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알고리즘 즉, 검색 키워드에 가장 적합하고 질좋은 결과를 상위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 유럽 뿐만 아니라 아시아, 남아메리카 등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검색엔진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검색엔진 순위
1. 구글
세계적으로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검색엔진이자 최대기업입니다. SEO나 검색엔진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이름일 것입니다. 1998년 설립된 이래 빠르게 성장하여 지금은 전세계 검색엔진 시장에서 9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접근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2. Bing
Microsoft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엔진 Bing은 구글을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최근 자체적으로 개발한 AI검색시스템을 도입하여 해마다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Bing은 사용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환율계산, 번역, 비행추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구글에 뒤지지 않는 폭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ing AI검색은 현재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바이두 白都
중국 최고의 검색엔진이며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큰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중국어로 표시되지만 기본적은 구조나 사용방법은 구글과 같습니다. 운영방식도 구글과 비슷하여 구글과 거의 유사한 광고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효과적인 광고운영을 위하여 유저의 검색결과가 추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바이두는 중국정부로부터 엄격하게 검열당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에 대한 표현이나 특정 이미지를 사용하는 등 자체적인 운영기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검열에 의하여 차단됩니다.
4. YAHOO!
지금은 그 위상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아직 YAHOO!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있습니다. 특히 일본에서는 구글에 이어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기도 합니다.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글과 거의 유사한 검색결과를 나타내지만 야후 자체서비스인 Yahoo!쇼핑이나 Yahoo!지도 등의 서비스가 연동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소프트뱅크 그룹의 자회사인 Yahoo Japan Corp.에서 운영 중입니다.
5. 얀덱스
러시아에서 가장 큰 검색엔진입니다. Google과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에서 60%이상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 외에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터키, 벨라루스 등 러시아문화권 국가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으며 영어와 터키어 외에 러시아어 등 키릴 문자권의 여러 언어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Yandex는 클라우드 기능도 제공하고 있어서 유저는 Yandex 포털검색으로 자신의 파일을 검색하고 저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6. DuckDuckGo
덕덕고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추적하지 않는 개인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검색엔진입니다. Google이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검색엔진이지만 일부 유저들은 구글의 데이터추적기능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구글은 자사 그리고 서드파티 서비스에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추적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에 최근, 구글은 사용자들의 쿠키를 저장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덕덕고는 “당신을 추적하지 않는 검색엔진”이라는 정체성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의 정보를 추적, 수집,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7. 에코시아
에코시아는 사용하는 것만으로 환경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검색엔진입니다. 독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수익을 투자자에게 환원하기 보다 지구 온난화 대책에 사용해야 한다”는 모티브로 광고 수입의 80%이상을 산림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심은 나무의 수가 포털사이트 상단에 표시되며 에코시아를 45번 검색하면 나무한 그루를 심을 수 있다고 합니다. 검색엔진 자체로서의 기능보다는 이념에 공감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적합한 독특한 검색엔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8. 네이버
한국에서 탄생한 검색엔진으로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검색엔진 점유율 1위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포털입니다. 50개 전후의 다양하고 복잡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글과는 다른 자체적인 SEO알고리즘으로 운영됩니다. 일단, 네이버 자체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트래픽을 획득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의 리스팅 광고나 블로그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는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동남아 등에서도 사용되며 특히 LINE이라는 메신저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카테고리로 사업전개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9. 소구
Sogou는 Baidu에 이어 중국에서 두번째로 큰 검색엔진입니다. 이 회사는 음석인식 및 번역과 같은 AI기능 개발에 집중하여 바이두에 이은 후발주자임에도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나가고 있습니다.
10. CocCoc
콕콕은 베트남에서 만들어진 검색엔진입니다. 베트남 환경에 적합한 기능을 추가하여 현지의 로컬 사용자들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여 구글을 제치고 현지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습니다. 베트남어 자동입력 지원 및 맞춤법 검사와 같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베트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검색,수집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그 외 검색엔진들
ASK https://www.ask.com/ : 검색결과가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심플한 사용법으로 검색 및 사용이 쉽습니다.
Startpage https://www.startpage.com/ : 덕덕고와 마찬가지로 유저의 사생활 보호에 중점을 둔 포털 사이트입니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적, 저장하지 않으며 “세계에서 가장 프라이빗한 검색엔진”을 모토로 하고 있습니다.
Qwant https://www.qwant.com/ : 프랑스에 기반을 둔 검색엔진으로 마찬가지로 개인정보를 추적, 저장하지 않습니다.
SearchEncrypt https://www.searchencrypt.com/ :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적하지 않도록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또한 15분 이상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사용기록을 삭제하여 공용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Swisscows https://swisscows.com/ : 모든 검색이 완전히 암호화되어 개인정보, IT, 검색기록은 일절 추적되지 않습니다. 서버는 스위스에 기점을 두고 있으며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컨텐츠가 제한되기 때문에 부모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Wolfram Alpha https://www.wolframalpha.com/ : 전문적인 답을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사기업 소유의 검색엔진입니다. 수학, 과학기술, 사회문화, 일상생활의 4가지 범주에서 전문직인 지식을 제공합니다.
끝으로
네이버와 구글 외에도 세계적으로 정말 많고 다양한 검색엔진들이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와 구글은 유저들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추적하여 수익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불안과 불만이 커지고 있기도 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개인정보 추적이나 검색기록의 저장 등의 프라이버시가 걱정된다면 다른 검색 엔진의 사용을 시도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Topicker입니다.
(=토픽을 줍는 사람 and 토픽을 말하는 사람)
회사원이 되길 꿈꿔 본적은 없었지만 회사원이 되었고 그렇게 1n년차 직장생활을 하면서 생각보다 회사원이 적성이 맞는가 싶었지만 알고보니 내 적성은 백수였다.
장래희망은 귀여운 할머니. 그리고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우연.